|
|
특징 |
|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자생하는 모든 난을 동양란이라 말한다. 작게는 심비디움에 속하는 춘란, 자란, 보세란, 봉란, 금릉변 등이 여기에 속하며, 또 덴들로비움, 석곡, 안그레컴에 속하는 충란을 더한 것이 넓은 의미의 동양란이다. 이들 동양란은 온대지방에서 자생하던 난이므로 우리나라의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이 있어서 특별한 월동설비 없이도 기를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또 풍란, 석곡을 제외한 대부분의 것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지생란이다. 단아하고 청순한 느낌을 주는 동양란은 꽃 자체의 아름다움과 향기를 목적으로 가꾸는 화물(化物)과 잎에 생기는 무늬, 반점 등의 변화를 즐기는 병물(炳物)로 나뉜다. 잎에 무늬를 넣는 것을 예(藝)라고 하는데, 이렇게 잎의 무늬, 분과 포기의 조화 등을 즐기는 것이 동양란의 독특한 멋이다. |
|
| |
|
|
분류 |
|
|
|
분류의 방법이 매우 다양한다.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란(春蘭), 하란(夏蘭), 추란(秋蘭), 동란(冬蘭)으로 나뉘리도 하고, 뿌리를 내리는 장소에 따라 지생란(地生蘭)과 착생란(着生蘭)으로 나뉘기도 한다. |
또 난(蘭)과 혜(蕙)로 분류하기도 하는데,난은 한 꽃대에 하나의 꽃이 피는 일경일화(一莖一花)를, 혜는 한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피는 일경다화(一莖多花)를 의미한다. 또 생물학적 분류에 의해 심비디움계, 풍란, 석곡으로 나누기도 한다.
거의 품종을 개량하지 않고 새로운 품종을 야생에서 찾아 각각의 개체명을 지어 부르는 것도 동양란의 특징 중 하나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우리나라의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한란이다.
환경 추위에 강하지만 급격한 온도의 변화는 좋지 않다. 그래서 마당에 심을 때는 반나절은 응달이고 바람이 잘 통하며 습도가 있는 곳이 적당하다. 이상적인 장소를 고른다면 낙엽수 아래 약간 경밥진 곳이 좋다.
화분에 심을 때는 일년 내내 우유빛 유리나 미닫이를 통해 들어오는 광선을 받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예쁜 꽃을 피우는 위해서는 12월∼1월 사이에 약 40일간 3。C 정도의 낮은 온도에 놓아 둘 필요가 있다. | |
|
|
가꾸기/물주기 |
|
|
|
바닥을 구멍으로 물이 흐를 정도로 흠뻑 준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물이나 고여 있는 물은 뿌리의 호흡을 막으므로 뿌리를 썩게 하기 쉽다. | |
|
|
흙 |
|
|
|
물빠짐과 공기 유통이 잘 되는 흙을 사용하고 화분도 물빠짐 구멍이 크고 통기성이 좋은 것을 쓴다. 수태를 사용해서 심은 것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산성화되므로 일년이 지나면 새 이끼로 갈아 심어 주는 것이 좋다. | |
|
|
감상법 |
|
|
|
관상 방법을 화물(花物)과 병물(炳物)로 나눈다. 화물은 꽃을 즐기는 것으로 꽃 빛깔과 모양의 변화, 향기 등이 관상 대상이며, 병물은 잎에 나타나는 색의 변화와 얼룩 무늬의 아름다움을 관상대상으로 한다.
|
역사가 오랜 중국의 관상 방식에 의하면 꽃 전체가 가지런해야 하며, 공간이 적고 색채가 순수하며 투명도가 있어야 한다. | |
|
|
꽃모양 |
|
|
|
매화와 같이 꽃잎이 둥근 매판, 연꽃과 같은 하화판, 수선화 같은 수선판, 순색으로 다른 색이 섞이지 않은 소심 등 4종 이외에, 변이된 기종으로 나누어 꽃색의 순도와 소심(素心)을 구별하고 꽃잎과 속잎도 어떻게 다른지 살피고 꽃대도 가늘고 길게 얼리갔는지 관찰한다. | |
|
|
잎무늬와 생김새 |
|
|
|
바탕색이 진녹색으로 광택이 나는지,잎에 나타난 무늬나 문양이 자연의 오묘함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핀다. 잎의 생김새는 바로 서는 것보다 여유있게 늘어지는 것을 으뜸으로 한다.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개개의 꽃과 잎이 아무리 뛰어나도 한 포기로서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안 된다. | |
|
|
|
특징 |
|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위 30。 사이의 열대·아열대 지방에 많이 퍼져 있는 난인데, 본래 동양에서 자라던 것을 유럽에서 들여가 그 품종을 개량한것이다. 이것이 19세기말 영국, 프랑스 등지로부터 다시 동양으로 수입되면서 기존의 자생란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서양란' 또는 '양란'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이들 양란은 더위에 강하고 추위에 약하다. 겨울에는 적절한 월동 설비로 온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거의모든 품종이 나무의 가지나 줄기,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착생란이며 화려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가정에서도 이 특징을 살려 나무나 바위,헤고판에 뿌리를 내리게 해서 자연미를 살릴 수 있으며 꽃꽃이나 부케, 코사지의 재료로도 많이 사용한다. |
|
| |
|
분류 |
|
|
|
크게 나누면 지생종(地生種)과 착생종(着生種)으로 나누는데 약 500속이 있고 그 속에서는 약 1 만에 가까운 종류가 있으며 원예 종도 많다. 원산지에 따라 중남이산, 남아프리카산, 열대아시아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착생종 나무의 줄기나 바위 등에 붙어서 뿌리를 뻗는 것으로 카틀레아, 덴드로비움, 반다, 팔레노프시스 등이 착색종에 속한다. | |
|
|
환경 |
|
|
|
더위에 강하고 추위에 약하다. 여름에는 직하광선을 가려주고,겨울에는 온도를 높여준다. 봄에서 가을까지는 온도와 습도가 알맞으므로 밖에서도 자랄 수 있지만 11∼2월 사이에는 집 밖에서 자라기 힘들다. |
프레임이나 온실에서 보호하여 얼지 않도록 조심한다. 또한 실내에 둔다 해도 난방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역시 프레임 속에 넣어야 한다. 화분은 2∼3년에 한번씩 갈아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 |
|
|
가꾸기/물주기 |
|
|
|
서양란의 생육 리듬을 고려한다. 생육기간 동안은 깻묵과 뼛가루를 섞은 것이나 희석한 화학 비료를 주어 생장을 돕고, 휴식기인 꽃이 피는 시기에는 비료를 주지 않는다. |
60%∼80% 정도의 높은 습도를 좋아하지만 고여 있는 물은 좋지 않다. 흙도 물빠짐이 좋은 것을 택한다. | |
|
|
번식법 |
|
|
|
씨뿌리기와 포기나누기가 가능하나 씨가 너무 작아 일반적인 씨뿌리기 방법으로는 번식이 힘들다. 알뿌리를 나누어 번식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상한 뿌리를 잘라낸 깨끗하고 건강한 것을 2∼3개 정도로 나누어 물빠짐이 좋은 화분에 새 용토를 사용해서 심고 물을 흠뻑 준다. | |
|
|
병충해 |
|
|
|
난은 보기와 달리 병충해에 강한 식물이다. 그러나 주위를 게을리하면 병충해에 걸리기 쉬우므로 3∼6월 사이에 월 2∼3회 살충제로 소독을 해주고 통풍이 잘 되도록 포기 사이의 간격을 떼어 주는 것이 예방책이다. | | |